본문 바로가기
경영 공부

[경영학 공부] ① 공기업 경영학 - 경영학 발전과정, 경영학이론

by 융글리쉬 2020. 4. 17.

1. 경영학의 발전과정

 

<18c 후반>

*분업

Adam Smith 아담 스미스, 분업-생산성 향상 도모

 

<20c 초>

*과학적 관리법

Taylor 테일러, 과학적 작업방식, 차별적 성과급제, <높은 임금, 낮은 노무비>원리

*포드 시스템

Henry Ford 헨리 포드, <저가격, 고임금>원리, 단순화, 표준화, 전문화, 봉사주의

*일반관리론

헨리 푸욜, 경영관리 14가지 일반원칙

*관료제론

막스 베버, 대규모 조직의 운영원리 제시-공식적 규칙, 문서화, 분업, 권한계층, 비개인성

 

<1930's>

*인간관계론

메이요&레스리스버가, 처음으로 비공식 조직의 존재를 밝힘

 

<1960's>

*시스템적 접근법

기업 : open system, 상호의존적인 유기적 관계

 

<1970's>

*상황론적 접근법

기업의 전략.규모.기술.환경에 따라 각기 다른 경영관리 방식 적용

 

<1990's>

*자원기반관점

기업 : 자원의 집합체, 기업경쟁력의 원천->내부에서 발견

 

<최근>

*지식경영이론(KM)

노나카, 새로운 지식을 끊임없이 창출하고 조직내에 확산시켜야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음.

지식의 구분

-형식지(explicit knowledge)-언어로 표현가능, 객관적 지식, 구체적, 공식적, 체계적

-암묵지(tacit knowledge)-언어로 표현 불가능, 주관적 지식, 추상적, 개인적, 비체계적

지식창조 반복적 순환 : 이식화(암->암), 분절화(암->형), 내재화(형->암), 연결화(형->형)

 

*구조조정(restructuring)

<구조조정 관련 기법>

-리엔지니어링(BPR)- 과격하게비즈니스 시스템 전체를 재구성

-벤치마킹 - 다른 조직의 제품, 서비스, 업무방식 등을 비교하여 아이디어, 경쟁력을 확보

-아웃소싱 - 핵심적인 활동에 집중->상대적으로 중요성이 낮은 업무는 외부에 맡김.

-다운사이징 - 슬림화, 능률화

 

2. 목표관리(MBO)

-목표설정이론(goal-setting theory)

-상급자와 하급자가 함께 목표를 설정 -> 책임부문을 명시 -> 진척상황을 정기적으로점검-> 목표의 달성도에 따라 보상을 배분

-일반적 요소: 목표의 구체성, 참여적 의사결정, 명확한 기간, 피드백

 

3. 균형성과표(BSC)

-4가지 효과성 범주: 재무적 관점, 고객 관점, 내부프로세스 관점, 학습과 성장 관점

 

4. 지식기반 경제의 도래

-전통산업: 수확체감의 법칙 통용

-지식기반 경제: 수확제층의 법칙통용

<수확체증의 법칙이 발생하는 이유> : 높은 신제품 개발비용, 네트워크 효과, 소비자의 타성

 

댓글